FrameWork(3)
-
윈도우(WSL)로 SDKMan 설치하기
sdkman은 여러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설치시켜주고 병렬적으로 관리할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쉽게 말하면 기존엔 자바 한버전을 설치하고 또 다른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 여기 저기 돌아다니면서 프로그램을 찾아서 설치하는 과정을 이 프로그램하나를 통해서 진행 할 수 있다. 우선 mac OS에서는 sdkman을 그냥 설치 가능하다고 하는데 Windows는 단독으로는 불가능하고 Git besh라는 프로그램과 WSL를 사용해서만 설치가 가능하다고 하기에 Git besh라는 프로그램을 쓰려고 했으나 이건 뭔가 제한사항이 있다고 하기에(정확하겐 모르지만 sdkman을 쓰려면 Git besh안에서만 써야한다고 햇었음 돌이켜보면 WSL이랑 다른점이 있나 싶기도함 ㅋㅋ..) WSL으로 사용해보기로 했다. 그리고 WSL..
2024.02.06 -
리액트 기본포트(default port) 확인하기
기존에 npm start를 하면 react server를 키면서 react가 보였었는데 아무래도 나는 이 서버의 URL 어떻게 가져오고 어떻게 설정 되어 있는지가 궁금해서 찾아봤던 내용을 작성해두려고 한다 . 서버의 포트 번호 확인하기 리액트를 설치할때 create-react-app 명령어를 사용해서 리액트 앱을 만들고 npm start를 사용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었다. 그 말은 create-react-app로 만든 리액트 앱에 웹 서버가 내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럼 위 처럼 포트번호가 3000번으로 자동으로 지정되는것은 어디서 되는 것인가? 이에 대한 답은 노드 모듈안에 존재한다. node_modules > react-scripts > scripts > start.js를 보면 아래와 같이 DEFAU..
2023.12.27 -
Start
리액트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Node.js가 필요하다 . 1. node.js 설치 LTS를 눌러서 node.js를 우선 설치해준다. 현재 설치하는 node.js의 버전은 20.9.0이다. 추후 프로젝트를 할 때는 버전을 변경하여 더 낮은 버전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안정적인 버전으로) 설치 과정에서는 특별하게 설정할 부분이 없었기에 따로 설명하지 않겠다. 터미널 혹은 명령프롬프트(cmd)에서 >node -v 명령어를 실행 했을때 아래와 같이 버전이 출력된다면 잘 설치가 된것이다. 그럼 다음으로 npm이란 것이 필요하다. npm이란 Node Package Manager의 줄임말로 말그대로 노드 패키지를 관리해주는 툴이다 근데 LTS버전에는 npm10.1.0을 포함하고 있어 설치하면서 같..
2023.11.06